Hello Android!
우선, 안드로이드 개발 환경 구성을 위해 다음 몇가지 절차를 진행하도록 하자.
1-1. Java SE Development Kit 8 (JDK) 설치
1-2. Android Studio 설치
1-3. SDK Manager를 이용하여 필요한 SDK 도구와 플랫폼을 설치
1-4. AVD Manager를 이용하여 Virtual Device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 생성
개발 환경 구성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다면 다음 절차를 통해 기초 기능을 확인해보자
2-1.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 사용
2-2. 실제 디바이스에서 Hello Android 프로젝트 실행하기
1-4. AVD Manager를 이용하여 Virtual Device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 생성
먼저, Android Studio를 설치하지 않았다면 1-2 로 이동하여 Android Studio 설치를 진행하고, SDK Manager 를 이용한 설정을 진행하지 않았다면 1-3 으로 이동하여 설정을 진행하자.
먼저, Create New Project 버튼을 클릭하여 새 프로젝트를 하나 생성하자.
프로젝트 템플릿을 Empty Activity로 설정하고 Next 버튼을 눌러 계속 진행하자.
프로젝트 설정을 진행해보자.
먼저, 프로젝트 이름을 HelloAndroid로 설정해보자. 이후 Package name을 확인해보면 자동으로 패키지명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패키지 이름은 몇가지 생성 규칙이 있는데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규칙은 '사이트이름.프로젝트이름' 이다. 만약 tistory.com 이라는 사이트을 갖고있는 회사에서 HelloAndroid라는 프로젝트를 생성하였다면, 그 프로젝트의 패키지명은com.tistory.helloandroid 라고 생성할 수 있다.
만약 본인의 사이트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me.이름.프로젝트이름' 으로 생성할 수 있다. 필자의 경우를 예로 들면 'me.lede.helloandroid' 로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Save Location은 생성된 프로젝트가 저장되는 위치를 나타낸다. 원하는 경로로 설정해보자.
Language는 Java와 Kotlin 두가지를 선택할 수 있다. 필자는 Java를 기준으로 프로젝트를 진행 할 예정이니 Java를 선택하자.
Minimum SDK는 생성할 프로젝트가 작동할 수 있는 최소의 Android 버전을 나타낸다. 해당 탭의 바로 아래를 살펴본다면 몇%의 디바이스에서 생성할 프로젝트가 작동할 수 있는지 알려준다. 너무 높은 버전을 사용한다면, 프로젝트를 작동시킬 수 있는 디바이스가 줄어드니, 잘 선택하도록 하자.
설정을 완료하였다면 Finish 버튼을 눌러 프로젝트를 생성하자.
우측 상단의 스마트폰 모양 버튼을 클릭하여 AVD Manager를 실행하자.
생성된 에뮬레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위와 같은 창이 출력된다. Create Virtual Device 버튼을 클릭하여 에뮬레이터 생성 창으로 이동하자.
다양한 타입의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필자는 Pixel 2 라는 이름의 디바이스를 선택하였다. 다른 환경의 디바이스를 원한다면 다른 환경을 선택하고 Next 버튼을 눌러 다음 절차로 진행하자.
디바이스에 설치할 시스템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시스템 이미지가 다운로드 되어있지 않다면 Download 버튼이 표시된다. 필자는 Android 11.0 버전인 R 버전을 다운로드 하였다. 제작한 프로젝트의 테스트를 위해서는 다양한 환경의 디바이스가 필요하니, 필요하다면 다른 버전의 시스템 이미지도 함께 다운로드 하여도 좋다.
디바이스에 설치할 수 있는 시스템 이미지가 존재한다면 Next 버튼이 활성화 된다. 원하는 버전의 시스템 이미지를 선택하고 Next 버튼을 눌러 다음 절차로 진행하자.
AVD의 더 다양한 세부 설정을 진행할 수 있다. 필자는 기본 설정으로 진행 할 예정이며 설정을 완료하였다면 Finish 버튼을 눌러 에뮬레이터를 생성하자.
Virtual Device의 목록을 살펴보면 방금 생성한 에뮬레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우측의 Launch(▶) 버튼을 클릭하여 에뮬레이터를 실행해보자. 개인 PC 환경에따라 실행되는데 시간이 걸릴 수 있으니 클릭하고 잠시 기다려보자.
에뮬레이터가 실행된다면 위 이미지의 창이 출력된다. 이제 2-1 로 이동하여 에뮬레이터의 사용 방법을 알아보자
1-1. Java SE Development Kit 8 (JDK) 설치
1-2. Android Studio 설치
1-3. SDK Manager를 이용하여 필요한 SDK 도구와 플랫폼을 설치
1-4. AVD Manager를 이용하여 Virtual Device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 생성
2-1.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 사용
2-2. 실제 디바이스에서 Hello Android 프로젝트 실행하기
'공부합시다 > Java, Andro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Android] Hello Android! 안드로이드 시작하기 #3 <SDK Manager> (0) | 2021.03.18 |
---|---|
[Android] Hello Android! 안드로이드 시작하기 #2 <Android Studio 설치> (0) | 2021.03.16 |
[Android] Hello Android! 안드로이드 시작하기 #1 <JDK 설치> (0) | 2021.03.16 |
[Android] Hello Andriod! 안드로이드 시작하기 #0 (0) | 2021.03.14 |